본문 바로가기

정보

자동차 용어 및 정보

728x90

1. AEB (Advanced Emergency Braking) : 국내법규

AEB (Advanced Emergency Braking)는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중 하나로,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시스템은 차량이 충돌 위험을 감지했을 때, 운전자가 적절히 반응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사고를 방지하거나 충돌의 심각성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작동 원리

  1. 센서 감지:
    • 차량에 장착된 레이더, 카메라, 또는 LIDAR 센서를 통해 전방의 차량, 보행자, 자전거 등을 감지합니다.
  2. 위험 판단:
    • 차량의 속도, 거리, 가속도를 계산하여 충돌 위험이 있는지 판단합니다.
  3. 경고 및 개입:
    •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운전자에게 경고(알림음, 계기판 표시)를 보냅니다.
    • 운전자가 반응하지 않으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킵니다.

주요 기능

  • 충돌 예방: 전방 차량, 보행자, 자전거와의 충돌을 방지.
  • 속도 조절: 차량 간 거리를 유지하며 속도를 조절.
  • 보행자 감지: 일부 시스템은 보행자나 자전거 운전자를 감지하여 제동.

장점

  • 운전자가 주의를 잃었을 때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
  • 사고의 심각도를 줄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
  • 운전 피로도를 줄이고 안전성을 높임.

한계

  • 악천후(비, 눈)나 어두운 환경에서는 센서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음.
  • 예상치 못한 장애물(작은 물체 등)을 감지하지 못할 가능성.
  • 일부 상황에서는 과민 반응으로 불필요한 제동이 발생할 수 있음.

AEB는 현대 자동차의 필수적인 안전 기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 신차에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 ACC (Adaptive Cruise Control) : 주행 편의 장치

ACC (Adaptive Cruise Control)는 차량의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운전자의 피로를 줄이고 편리함을 제공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입니다. 기존의 크루즈 컨트롤에서 발전된 기술로,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자동으로 속도를 제어합니다.

작동 원리

  1. 센서와 카메라 감지:
    • 차량에 장착된 레이더 센서 카메라를 사용해 전방 차량의 속도와 거리를 측정합니다.
  2. 자동 속도 조절:
    • 차량이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속하거나 브레이크를 적용합니다.
  3. 정지 및 재출발 기능 (Stop & Go, 일부 모델에서 지원):
    • 교통 정체 상황에서도 차량이 자동으로 정지하고 재출발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 차간 거리 유지: 운전자가 설정한 거리와 속도를 기준으로 앞차와 안전한 간격을 유지합니다.
  • 자동 제동 및 가속: 도로 상황에 따라 속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운전자의 부담을 줄입니다.
  • 정체 상황 지원: 일부 모델에서는 정차 후에도 시스템이 재작동합니다.

장점

  1. 운전 피로 감소: 고속도로 주행 시 장시간 속도를 조정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운전 가능.
  2. 안전성 향상: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해 추돌 사고 위험 감소.
  3. 연비 개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여 연료 효율성을 높임.

단점

  1. 복잡한 환경에서 한계: 급작스러운 차량 끼어들기나 악천후에서는 오작동 가능성.
  2. 의존성 문제: 운전자가 시스템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주의력이 떨어질 수 있음.
  3. 초기 비용: 이 기능이 포함된 차량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음.

ACC는 고속도로 주행 시 특히 유용하며, 장거리 운전을 자주 하는 운전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입니다.

 

3. LDW (Lane Departure Warning) : 국내 법규

LDW (Lane Departure Warning)는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려 할 때 운전자에게 경고를 제공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입니다. 이 기능은 특히 졸음운전이나 산만한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는 데 유용합니다.

작동 원리

  1. 카메라 및 센서 감지:
    • 차량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가 도로의 차선 마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합니다.
  2. 차선 이탈 감지:
    • 차량이 방향 신호 없이 차선을 벗어나는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3. 운전자 경고:
    • 경고음, 진동(주로 스티어링 휠), 또는 시각적인 알림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립니다.

주요 기능

  • 차선 유지 보조:
    • LDW는 차선 이탈을 경고만 제공하며, 차량 제어는 운전자에게 맡깁니다. (Lane Keeping Assist 기능과는 다름)
  • 교통 안전 향상:
    • 도로에서의 갑작스러운 차선 이탈로 인한 사고를 예방.

장점

  1. 졸음운전 예방: 운전자가 차선 유지에 신경 쓰지 못할 때 사고 위험을 줄임.
  2. 사용자 편의성: 알림으로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3. 다양한 경고 옵션: 소리, 진동 등 운전자 선호에 따라 조정 가능.

단점

  1. 도시 환경에서 한계:
    • 도로 마커가 흐릿하거나 없는 경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음.
  2. 날씨의 영향:
    • 눈, 비, 안개 등으로 인해 카메라 센서의 감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
  3. 과민 반응:
    • 일부 경우에서 민감하게 작동해 불필요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음.

LDW는 고속도로와 같이 차선이 뚜렷한 도로에서 특히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지원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4. FCW (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Forward Collision Warning)는 차량 전방의 충돌 가능성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미리 경고를 제공하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입니다. 이 시스템은 운전 중 충돌 위험을 줄이고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작동 원리

  1. 센서 및 카메라 감지:
    • 차량에 장착된 레이더, 카메라 또는 LIDAR가 전방의 차량, 보행자, 자전거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합니다.
  2. 충돌 위험 계산:
    • 현재 차량 속도, 앞차와의 거리, 그리고 속도 차이를 바탕으로 충돌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3. 운전자 경고:
    • 위험이 감지되면 시각적(계기판 경고), 청각적(알림음), 또는 진동(스티어링 휠 진동)으로 운전자에게 즉시 경고합니다.

주요 기능

  • 충돌 예방 경고: 운전자가 주의를 잃은 상황에서도 위험을 알립니다.
  • 도심 및 고속도로 주행 지원: 다양한 환경에서 충돌 위험을 예측합니다.
  • 다양한 경고 방식: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경고를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알림.

장점

  1. 사고 예방:
    • 빠른 반응으로 후방 추돌 사고를 방지하거나 그 피해를 최소화.
  2. 운전자 주의력 보조:
    • 운전 중 주의가 산만할 때도 경고로 안전을 지원.
  3.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
    • AEB(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등과 함께 작동하여 더 높은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단점

  1. 한계 상황:
    • 복잡한 교통 환경이나 급작스러운 움직임에 대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음.
  2. 오경고:
    • 민감하게 작동하여 필요하지 않은 경고를 제공할 가능성.
  3. 단순 경고:
    • FCW는 경고만 제공하며, 운전자 개입이 없으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음(이 역할은 AEB가 담당).

FCW는 주행 중 안전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기술로, 특히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5. IPM (IMAGE PROCESSING MODULE)

IPM (Image Processing Module)는 차량의 카메라 시스템에서 수집된 이미지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하는 모듈입니다. 이 기술은 주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및 자율주행 차량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센서와 데이터를 통합하여 차량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주요 기능

  1. 이미지 분석:
    • 전방 카메라를 통해 도로 상황, 차선, 보행자, 차량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분석합니다.
  2. ADAS 지원:
    • 차선 유지 보조(LKA), 전방 충돌 경고(FCW), 보행자 감지 등 다양한 ADAS 기능을 지원합니다.
  3. 다중 센서 통합:
    • 카메라뿐만 아니라 레이더, LiDAR 등 다른 센서와 데이터를 통합하여 더 정확한 환경 인식을 제공합니다.
  4. 자율주행 지원:
    • 자율주행 차량의 경로 계획 및 장애물 회피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적용 사례

  • ZF의 IPM 6:
    • ZF의 IPM 6은 Mobileye의 EyeQ6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최대 12개의 위성 카메라와 여러 센서를 통합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 랜드로버 및 재규어 차량:
    • IPM은 랜드로버와 재규어 차량에서도 사용되며, 차량의 코딩 및 설정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IPM은 차량의 안전성과 자율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미래의 자율주행 및 스마트 모빌리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6. ECAS4 (Electronic Controlled Air Suspension 4th Generation)

WABCO사의 ECAS4는 상용차의 에어 서스펜션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OptiRide™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시스템은 차량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기능

  1. 전자 제어식 에어 서스펜션(ECAS):
    • 차량의 적재 상태에 따라 서스펜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승차감을 최적화합니다.
    • 도로 조건에 따라 차량의 높이를 조절해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2. 높이 센서 및 압력 센서:
    • 차량의 높이와 하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3. 연비 개선:
    • 공기역학적 높이 조정을 통해 연료 소비를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4. 사용자 편의성:
    • 원격 제어 기능을 통해 운전자가 쉽게 차량 높이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적용 사례

  • 트럭 및 버스와 같은 상용차에서 주로 사용되며, 특히 화물 운송 차량에서 적재 상태에 따른 높이 조정이 중요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7. Wabco OGM (OnGuardMAX)

OnGuardMAX는 독일 WABCO(현재 ZF 그룹의 일부)의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중 하나로, 상용차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된 자율 긴급 제동 시스템(AEBS)입니다. 이 시스템은 충돌을 방지하거나 충돌의 심각성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요 기능

  1. 충돌 방지:
    • 전방의 차량, 보행자, 자전거 등을 감지하여 충돌 위험이 있을 경우 경고를 제공하고, 필요 시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킵니다.
    • 최대 80km/h의 속도에서 차량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2. 다중 센서 통합:
    • 레이더와 카메라를 결합하여 이동 중인 물체와 정지된 물체를 정밀하게 감지합니다.
    • EyeQ®4 칩 기반의 이미지 처리 모듈을 사용하여 고급 객체 감지 및 분류를 수행합니다.
  3. 차선 유지 보조:
    • 차선 이탈 경고(LDW) 및 차선 유지 보조(LKA) 기능을 통합하여 고속도로 주행 시 안전성을 높입니다.
  4.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 차량 간 거리를 유지하며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 정체 상황에서도 Stop & Go 기능을 지원합니다.
  5. 사각지대 감지 및 회피:
    • 사각지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필요 시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사고를 방지합니다.

장점

  • 안전성 향상: 충돌 사고를 예방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하여 운전자와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보호합니다.
  • 연료 효율성: 자동 속도 조절 및 공기역학적 주행으로 연비를 개선합니다.
  • 규제 준수: 유럽 NCAP 및 기타 안전 규정을 충족하며, 자율주행 기술의 기반을 제공합니다.

OnGuardMAX는 상용차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복잡한 도로 환경에서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는 데 유용합니다.

 

 

 

728x90
728x90